대기오염 경보제는 고농도의 오존 및 미세먼지 발생시 오염도를 알려주어 오염 수준별 행동요령 및 조치사항을 이행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저감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경보제의 자세한 내용은 오존, 미세먼지 경보제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대기오염 경보제는 고농도의 오존 및 미세먼지 발생시 오염도를 알려주어 오염 수준별 행동요령 및 조치사항을 이행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저감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경보제의 자세한 내용은 오존, 미세먼지 경보제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권역 | 시구 | 측정소 | 시행시작년도 | 비 고 |
---|---|---|---|---|
영서북부 | 춘천 | 중앙로석사동신사우동 | 2014년2004년2020년 | |
홍천 | 홍천읍 | 2019년 2월 | ||
철원 | 갈말읍 | 2019년 1월 | ||
화천 | 화천읍 | 2019년 2월 | ||
양구 | 양구읍 | 2019년 1월 | ||
인제 | 인제읍 | - | 2019년 4월 | |
영서남부 | 원주 | 중앙동명륜동문막읍지정면 | 2004년2004년2018년 10월2021년 10월 | |
횡성 | 횡성읍우천면 | 2018년 12월2022년 | ||
영월 | 영월읍 | 2019년 1월 | ||
평창 | 평창읍 | 2018년 1월 | ||
정선 | 정선읍 | 2019년 1월 | ||
영동북부 | 속초 | 금호동 | 2019년 1월 | |
고성 | 상리 | 2018년 12월 | ||
양양 | 양양읍 | 2019년 1월 | ||
영동남부 | 강릉 | 옥천동주문진읍 | 2004년2022년 | |
동해 | 천곡동 | 2004년 | ||
태백 | 황지동 | 2019년 2월 | ||
삼척 | 남양동 | 2007년 | ||
강원도내 18개시군 25개 도시대기측정소 설치지역 |
오존 경보제는 고농도의 오존에 노출될 경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나 노약자, 어린이 및 일반주민들에게 오존농도가 높음을 알려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또 오존농도를 줄이는데 있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도로서 1995년도에 서울지역에 처음 도입되었고,
강원도는 2002년 11월 대기오염자동측정망 측정자료 전송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강원대기환경종합정보시스템)가 구축완료됨에 따라 2004년부터 오존경보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행기간 | 연 중 |
시행지역 | 강원도내 18개시군 25개 도시대기측정소 설치지역 |
시행방법 |
|
경보등급 | 주의보 | 경보 | 중대경보 |
픽토그램 1안 | ![]() | ![]() | ![]() |
경보농도(ppm) | 0.12ppm/시 이상 | 0.3ppm/시 이상 | 0.5ppm/시 이상 |
구분 | 발령기준 | 인체영향 |
---|---|---|
주의보 (0.12ppm/시 이상) | 오존농도가 0.12ppm/시 이상일때 | 눈, 코자극, 불안, 두통, 호흡수 증가 |
경보 (0.3ppm/시 이상) | 오존농도가 0.3ppm/시 이상일때 | 호흡기 자극, 가슴압박, 시력감소 |
중대경보 (0.5ppm/시 이상) | 오존농도가 0.5ppm/시 이상일때 | 폐기능 저하, 기관지 자극, 폐혈증 |
구분 | 시민 | 차량운전자(소유자) | 관계기관 | 사업장 |
---|---|---|---|---|
주의보 (0.12ppm/시 이상) |
|
|
|
|
경보 (0.3ppm/시 이상) |
|
|
|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
중대경보 (0.5ppm/시 이상) |
|
|
|
조업단축 |
기관 | 기관 조치사항 |
---|---|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발령기준농도 초과시 주의보/경보발령 |
환경관련부서, 교육청, 군부대 및 언론기관에 FAX, 긴급재난문자 이용하여 전달 |
산업활동과 교통량 증가 등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대기오염도가 증가하여 이로 인한 위해성이 증가되었으나, 대기오염의 피해 특성상 그 영향이 광범위하여 처리시설 등을 통한 즉각적 제어가 어려우며,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시 주민에게 신속히 전파하여 대기오염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고, 주민의 건강과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함.
강원도는 2008년부터 미세먼지 경보제를 시행 하였으며, 2013년 12월 대기오염자동측정망 측정자료 전송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강원대기환경종합정보시스템)를 재구축하였음.
시행기간 | 연중 |
시행지역 | 강원도내 18개시군 25개 도시대기측정소 설치지역 |
시행방법 |
|
경보등급 | 주의보 | 경보 |
픽토그램 1안 | ![]() | ![]() |
구분 | 발령기준 | 해제기준 |
---|---|---|
주의보 | 미세먼지농도가 시간당 평균 150㎍/㎥ 이상 2시간 지속 | 미세먼지 농도가 시간당 평균 100㎍/㎥ 미만 |
경보 | 미세먼지농도가 시간당 평균 300㎍/㎥ 이상 2시간 지속 | 미세먼지 농도가 시간당 평균 150㎍/㎥ 미만 |
경보등급 | 주의보 | 경보 |
픽토그램 1안 | ![]() | ![]() |
구분 | 발령기준 | 해제기준 |
---|---|---|
주의보 | 미세먼지(PM2.5) 농도가 시간당 평균 75㎍/㎥ 이상 2시간 지속 | 미세먼지(PM2.5) 농도가 시간당 평균 35㎍/㎥ 미만 |
경보 | 미세먼지(PM2.5) 농도가 시간당 평균 150㎍/㎥ 이상 2시간 지속 | 미세먼지(PM2.5) 농도가 시간당 평균 75㎍/㎥ 미만 |
구분 | 시민건강보호 | 대기오염저감 |
---|---|---|
주의보 |
|
|
경보 |
|
|
기관 | 기관 조치사항 |
---|---|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발령기준농도 초과시 주의보/경보발령 |
환경관련부서, 교육청, 군부대 및 언론기관에 FAX, 긴급재난문자 이용하여 전달 |
황사란 몽고 및 중국대륙의 사막지대와 황하강 유역의 황토지대에서 발생한 흙먼지가 바람에 의해 떠다니거나 낙하하여 시정장애를 일으키는 현상
황사특보는 기상청장이 발령
구분 | 발령 기준치 | 행동 요령 |
---|---|---|
주의보 |
|
|
경보 |
|
|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
학교 등 교육기관 |
|
축산 시설원예 등 농가 |
|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
학교 등 교육기관 |
|
가정 및 식품취급 장소 |
|
학교 등 교육기관 |
|
축산 시설원예 등 농가 |
|